본문 바로가기

뽕을품은누에 칼럼113

(4화) 글로벌 실크 시장 중 바이오 원재료에 대해 1화 : 글로벌 양잠업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2화 : 글로벌 실크 전쟁의 서막 3화 : 글로벌 실크 시장이 점점 커지는 이유? 섬유 중심의 실크와 바이오 원재료로 활용하는 실크는 완전히 다른 이야기이다. 같은 뽕나무로 누에를 키워 생산할 수 있지만 어떤 용도로 쓰이는가에 대해 뽕나무를 심을 땅 부터 그 영향이 미친다. 이게 무슨 말인가? 라고 의아해 할 수 있지만 사실이다. 간단하게 예로 들어 설명을 해보면 이해를 고려해 우리나라 기준으로 A라는 사람은 자신이 보유한 1ha에서 섬유, 직물용으로 누에를 생산을 계획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우리나라 누에 보급 시즌 때 키울 누에씨를 신청해서 보급받아서 뽕밭 1ha를 활용해 잠실에서 누에를 1령, 2령, 3령, 4령, 5령, 누에고치를 순차적으로 키워 A가 .. 2023. 12. 27.
(3화) 글로벌 실크 시장이 점점 커지는 이유? 1화 : 글로벌 양잠업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2화 : 글로벌 실크 전쟁의 서막 중국의 생산량 감소는 글로벌 실크 산업에 큰 이슈로 작용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점유율 74% -> 54% 떨어진 이때 중국의 빈자리를 채워야하는데 그 방대한 생산량을 채우기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또한 양잠업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큰 고민에 빠지지 않을 수 없다. 양잠업의 어려움이란 무엇일까? 첫째. 누에는 단 1%의 오염도 허용하지 않는 친자연곤충으로 친자연환경에서만 생산이 가능하다. 둘째. 누에의 습성은 특정한 온도와 특정한 습도를 선호하기 때문에 각 령별로 그 환경을 최적화 시켜줘야한다. 셋째. 양잠업은 규모화의 농업이기 때문에 많은 양잠산물을 얻으려면 많은 땅이 필요하다. 넷째. 양잠업의 생산은 노동집.. 2023. 12. 21.
(2화) 글로벌 실크 전쟁의 서막 전편 : 글로벌 양잠업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글로벌 실크의 시장을 조사하다보면 해석이 난해한 데이터들을 볼 수 있다. 그중 중요한 데이터들을 살펴보면 글로벌 실크 생산국을 순서대로 나열하면 중국 > 인도 > 우즈베키스탄 > 베트남 > 태국 > 브라질 순이며(2022년 기준) 우선 공통적으로 말하고 있는 것은 세계 실크 시장의 규모의 지속성장이다. 약산 차이가 있지만 약 8~9%의 매년 지속성장을 전망하고 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전체 실크 생산량은 2019년을 기점으로 급속하게 감소하고 있다.(2022년 기준) 그 원인으로 한때 글로벌 실크 시장의 70%가 넘는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던 중국이 2019년 부터 생산량이 급속하게 줄어들어 2022년 기준 글로벌 실크 시장의 54% 점유율을 기록했다. 인.. 2023. 12. 20.
(1화) 글로벌 양잠업 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식사 하셨어요?' 나 어릴 적 흔한 인사말이었다. 아버지, 어머니 시절의 배고픔, 서로의 안부를 묻던 시절이 있었다. 이제 우리나라의 지위는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 그룹으로 변경되었고 '식사 하셨어요?' 인사말은 과거의 힘겨움의 아련한 기억으로 잊혀지고 있다. 국가의 발전은 국민 개개인의 발전과 더불어 이제는 그저 배고픔을 달래기 위한 음식이 아닌, 같은 음식이라도 좀 더 건강하고, 신선한, 가치있는 식품을 찾기 시작하였다. 결국 개개인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이미 오래전 부터 우리나라 음식, 식품 문화는 발달하고 있었다. 그런 부분에서 양잠업은 가장 어려운 분야 중에 한 분야이다. 지금까지도 양잠업은 섬유 중심의 양잠업이 지배적이고 앞으로도 섬유 중심의 양잠업이 지배적일 것이다. 아!! 좀.. 2023. 12. 17.